Ch12. 두 모집단의 비교에 관한 가설검정

앞에서 설명한 가설검정은 한 모집단의 특성들에 관한 것이었다. 예를 들면 어느 지역의 도시 근로자들의 월급이 평균 270만원이라고 했을 때 실제로 그러한가에 대한 가설검정을 하는 것이다. 그러나 한 모집단 평균에 대한 가설검정 못지 않게 두 모집단의 평균에 대한 가설검정을 할 때가 많다. 한 지역에서 표본으로 선정된 근로자들의 월급이 270만원이고 다른 지역에서의 근로자들의 월급이 280만원이라고 할 때 두 지역의 근로자들의 월급이 차이가 난다고 볼 수 있는가 하는 것이다. 즉, 두 지역에서 계산된 표본들의 월급차이는 10만원이지만 이러한 차이는 모집단 자체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생기는 차이인지 또는 단순한 표본선정에서 생길 수 있는 오차 때문인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 두 모집단 평균의 차이에 관한 가설검정
  • 두 모집단 분산의 차이에 관한 가설검정

1. 두 모집단 평균의 차이에 관한 가설검정

$(\bar{X}_{1} - \bar{X}_{2})$ 의 표집분포

설명

  • 첫 번째 모집단에서 뽑힌 모든 표본들의 평균 : $\bar{X}_{11}, \bar{X}_{12}, \cdots, \bar{X}_{1i}$
  • 두 번째 모집단에서 뽑힌 모든 표본들의 평균 : $\bar{X}_{21}, \bar{X}_{22}, \cdots, \bar{X}_{2j}$
  • 편의상 순서를 가리지 않고 표현 : $\bar{X}_{1}, \bar{X}_{2}$
    • 따라서 $(\bar{X}_{1} - \bar{X}_{2})$의 표집분포라 함은 첫 번째 모집단에서 뽑힐 수 있는 표본들과 두 번째 모집단에서 뽑힐 수 있는 모든 표본들의 평균차이 표집분포를 말한다.

$(\bar{X}_{1} - \bar{X}_{2})$ 표집분포 예제

어느 회사의 경리과와 총무과에 직원이 각각 2명 있으며, 이들의 연령은 각각 아래의 표와 같다.

직원 \ 부서 경리과 총무과
1 20 20
2 26 24

각 과별로 직원을 두 명 뽑을 때 두 과에서 뽑힐 수 있는 선택가능한 표본들은 다음과 같다 (복원추출)

모집단 I ( 경리과 ) 모집단 II ( 총무과 )
20, 20 $\bar{X}_{11}$$ = 20$ 20, 20 $\bar{X}_{21}$$ = 20$
20, 26 $\bar{X}_{12}$$= 23$ 20, 24 $\bar{X}_{22}$$= 22$
26, 20 $\bar{X}_{13}$$ = 23$ 24, 20 $\bar{X}_{23}$$ = 22$
26, 26 $\bar{X}_{14}$$ = 26$ 24, 24 $\bar{X}_{24}$$ = 24$

위에서 각 과에서 복원추출할 때 뽑힐 수 있는 모든 표본들을 적었다. 이 경우 두 모집단에서 뽑힌 모든 표본평균들 간의 차이를 보면 $4 \times 4 = 16$ 가지 이다.

$\bar{X}_{11}$$- \bar{X}_{21}$$ = 0$ $\bar{X}_{11}$$- \bar{X}_{22}$$ = -2$ $\bar{X}_{11}$$- \bar{X}_{23}$$ = -2$ $\bar{X}_{11}$$- \bar{X}_{24}$$ = -4$
$\bar{X}_{12}$$- \bar{X}_{21}$$ = 3$ $\bar{X}_{12}$$- \bar{X}_{22}$$ = 1$ $\bar{X}_{12}$$- \bar{X}_{23}$$ = 1$ $\bar{X}_{12}$$- \bar{X}_{24}$$ = -1$
$\bar{X}_{13}$$- \bar{X}_{21}$$ = 3$ $\bar{X}_{13}$$- \bar{X}_{22}$$ = 1$ $\bar{X}_{13}$$- \bar{X}_{23}$$ = 1$ $\bar{X}_{13}$$- \bar{X}_{24}$$ = -1$
$\bar{X}_{14}$$- \bar{X}_{21}$$ = 6$ $\bar{X}_{14}$$- \bar{X}_{22}$$ = 4$ $\bar{X}_{14}$$- \bar{X}_{23}$$ = 4$ $\bar{X}_{14}$$- \bar{X}_{24}$$ = 2$

만약 경리과 직원이 5명, 총무과 직원이 10명이라면, 복원추출로 두 사람씩 뽑힐 수 있는 표본은 경리과에서 $5 \times 5 = 25$ 개, 총무과에서 $10 \times 10 = 100$ 개, 그러므로 차이를 계산할 때 가능한 표본의 조합은 $25 \times 100 = 2500$ 개가 될 것이다.

$(\bar{X}_{1} - \bar{X}_{2})$ 분포의 평균과 표준편차

$$ \begin{align} 평균 \quad & \mu_{d} = \mu_{1} - \mu_{2} \\ 분산 \quad & \sigma^{2}_{d} = \frac{\sigma^{2}_{1}}{n_{1}} + \frac{\sigma^{2}_{2}}{n_{2}} \\ \end{align} $$
  • 가정 : 두 모집단은 서로 독립이다
  • 성질
    1. 두 모집단의 분포가 정규분포이면, 평균차의 표집분포도 정규분포를 이룬다
    2. 두 모집단의 분포가 정규분포가 아닐지라도, 표본의 크기 즉 $n_{1}, n_{2}$가 크면 $(\bar{X}_{1} - \bar{X}_{2})$의 분포는 정규분포가 된다. ( 중심극한정리 )

$(\bar{X}_{1} - \bar{X}_{2})$ 분포의 Z-통계량

$$Z = \frac{(\bar{X_1} - \bar{X_2})-(\mu_1 - \mu_2)}{\sigma_d}$$

모집단의 분산을 알고 있을 때

$(\bar{X}_{1} - \bar{X}_{2})$ 분포의 표준편차 ( 표본의 갯수와 상관없이 동일 )

$$ \sigma_{d} = \sqrt{\frac{\sigma^{2}_{1}}{n_{1}} + \frac{\sigma^{2}_{2}}{n_{2}}} $$

Z-통계량

$$Z = \frac{(\bar{X_1} - \bar{X_2})-(\mu_1 - \mu_2)}{\sigma_d}$$




모집단의 분산을 모르고 있을 때 ( n $\ge$ 30 )

$(\bar{X}_{1} - \bar{X}_{2})$ 분포의 표준편차

$$ S_d = \sqrt{\frac{S^{2}_{1}}{n_{1}} + \frac{S^{2}_{2}}{n_{2}}} $$

Z-통계량

$$Z = \frac{(\bar{X_1} - \bar{X_2})-(\mu_1 - \mu_2)}{S_d}$$

모집단의 분산을 모르고 있을 때 ( n < 30 )

$(\bar{X}_{1} - \bar{X}_{2})$ 분포의 표준편차

  • 가정
    1. 두 개의 모집단이 모두 정규분포
    2. 두 모집단의 분산이 서로 동일 ( $\sigma^2_1 = \sigma^2_2$)
$$ S_d = S_p \sqrt{\frac{1}{n_1} + \frac{1}{n_2}} \\ 단, S_p = \sqrt{\frac{(n_1-1)S^2_1 + (n_2-1)S^2_2}{n_1+n_2-2}} \\ $$

t-통계량

$$t = \frac{(\bar{X_1} - \bar{X_2})-(\mu_1 - \mu_2)}{S_d}$$













예제1. 최근 국내에서 늘어가는 다문화가정에서 자란 아이와 일반가정에서 자란 아이의 한국어 어휘능력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어휘능력 시험을 치러 결과를 알아보았더니 다음과 같았다. 이 어휘검사의 표준편차는 두 모집단 모두 $\sigma = 5$로 나왔다. 두 집단 아이들의 어휘검사의 결과에 차이가 있는지 $\alpha=0.05$의 유의수준에서 검정하라.

다문화가정 일반가정
$n_1$$=50$ $n_2$$=50$
$\bar{X}_1$$=80$ $\bar{X}_2$$=86$
$$ \begin{align} ①&\quad H_{0} : \mu_1 = \mu_2 \\ &\quad H_{a} : \mu_1 \ne \mu_2 \\ ②&\quad \alpha = 0.05 ( 5\% , 양측검정 ) \\ ③&\quad 채택영역 : -1.96 \le Z \le 1.96 \\ &\quad 기각영역 : Z < -1.96 또는 Z > 1.96 \\ ④&\quad Z = \frac{(\bar{X_1} - \bar{X_2})-(\mu_1 - \mu_2)}{\sigma_d} = \frac{-3-0}{1} = -3\\ &( \quad \sigma_d = \sqrt{\frac{\sigma^{2}_{1}}{n_{1}} + \frac{\sigma^{2}_{2}}{n_{2}}} = \sqrt{\frac{25}{50} + \frac{25}{50}} = 1 ) \\ &\quad Z = -3 은 임계값인 -1.96보다 작으므로 ( 기각영역 안에 있으므로 ) H_{0}를 기각한다. \\ ⑤& \quad 따라서 두 집단 아이들의 어휘검사 점수가 같다고 말할 수 없다. \end{align} $$

예제2. 지금까지의 경험으로 보아 $A회사$에서 만드는 전구의 평균 수명은 $B회사$에서 만드는 것보다 $200$시간이 더 길다고 한다. $A회사$에서 $169$개의 표본을 뽑아 평균 수명을 조사했더니 $1,400$시간이었고 표준편차는 $130$시간이었다. $B회사$에서는 $144$개를 뽑았는데 표본의 평균 수명은 $1,300$시간이었고 표준편차는 $120$시간이었다. $A회사$의 전체전구의 평균 수명이 $B회사$ 전구보다 $200$시간 길다는 것을 $\alpha=0.05$에서 검정하라.

A회사 B회사
$\bar{X}_1$$=1400$ $\bar{X}_2$$=1300$
$S_1 $$= 130$ $S_2$$= 120$
$n_1$$=169$ $n_2$$=144$












짝을 이룬 표본의 차이에 관한 가설검정

  • 서로 다른 두 개의 모집단에서 뽑는 것이 아닌, 하나의 모집단으로부터 표본을 뽑은 후 그 표본으로부터 쌍으로 된 관찰값들 ( paired sample )을 뽑아 이들 간 차이에 대한 가설검정

짝을 이룬 표본의 차이에 대한 표집분포

$$ \begin{align} 평균 \quad & \mu_{d} = \mu_{1} - \mu_{2} \\ 표준편차 \quad & \sigma_d = \frac{S_d}{\sqrt{n}} \\ & ( S_d = \sqrt{ \frac{\sum(D_i - \bar{X})^2}{n-1} } )\\ & ( D_i = X_1 - X_2 ) \end{align} $$

t-통계량

$$t = \frac{\bar{D}-(\mu_1 - \mu_2)}{S_d / \sqrt{n}}$$

예제1. 어느 회사에서 직업훈련이 근로자의 능률향상에 효과가 있는지를 알고 싶다고 하자. 이를 위해 16명의 근로자를 뽑아서 직업훈련을 하기 전과 후의 작업능률의 점수를 알아보았더니 다음 표와 같았다. 이 조사결과로써 훈련전과 훈련후의 능률이 같다고 할 수 있을까? 모집단에서의 차이의 분포는 정규분포라 가정한다.

먼저 차이의 평균 ( $\bar{D}$ ) 과 표준편차 ( $S_d$ )를 계산하면,

$$ \begin{align} & \bar{D} = \frac{\sum(X_1 - X_2)}{n} = \frac{D_i}{n} = \frac{16}{16} = 1\\ & S_d = \sqrt{ \frac{ \sum(D_i-\bar{D})^2 }{n-1} } = \sqrt{\frac{442}{15}} = \sqrt{29.47} = 5.43 \\ \end{align} $$
근로자 훈련후 $(X_1)$ 훈련전 $(X_2)$ 차이 $(D_i = X_1 - X_2)$ $D_i$$ - \bar{D}$ $(D_i$$ - \bar{D}$$)^2$
A 80 75 5 4 16
B 90 83 7 6 36
C 92 96 -4 -5 25
D 75 77 -2 -3 9
E 86 81 5 4 16
F 90 90 0 -1 1
G 81 82 -1 -2 4
H 70 67 3 2 4
I 89 94 -5 -6 36
J 88 85 3 4 4
K 82 78 4 3 9
L 79 82 -3 -4 16
M 91 96 -5 -6 36
N 90 80 10 9 81
O 78 87 -9 -10 100
P 89 81 8 7 49
합계 - - 16 - 442
$$ \begin{align} ①&\quad H_{0} : \mu_1 - \mu_2 = 0 \\ &\quad H_{a} : \mu_1 - \mu_2 \ne 0 \\ ②&\quad \alpha = 0.05 ( 5\% , 양측검정 ) \\ ③&\quad 자유도 df: 16-1 = 15 이므로 \\ &\quad 채택영역 : -2.131 \le t \le 2.131 \\ &\quad 기각영역 : t < -2.131 또는 t > 2.131 \\ ④&\quad t = \frac{\bar{D}-(\mu_1 - \mu_2)}{S_d / \sqrt{n}} \\ &\quad = \frac{1-0}{5.43 / \sqrt{16}} = 0.74 \\ &\quad t = 0.74 는 -2.131 \le t \le 2.131 안에 포함되어 있으므로 \\ &\quad ( 채택영역 안에 있으므로 ) H_{0}를 기각할 수 없다. \\ ⑤& \quad 따라서 직업훈련은 능률향상에 효 과가 있다고 할 수 없다. \end{align} $$

위 예제에서 두 모집단에 뽑힌 표본의 차에 대한 가설검정 때와는 달리 자유도가 $n -1$이었다. 그 이유는 겉으로 보기에는 $\mu_1 - \mu_2$에 대한 가설검정 같지만 실제로는 크기가 $n$인 하나의 표본을 가지고 모집단 $D$에 대한 가설검정을 한 것이기 때문이다.

2. 두 모집단 분산의 차이에 관한 가설검정

F-분포

  • R.A. Fisher 에 의해서 규정된 분포로 그를 기념하기 위해 F-분포라 함
  • 두 개 이상의 평균차를 검정하는 분산분석방법이나 두 분산의 차이를 검정하는 경우에 적용되는 등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분포
  • $F$ 값은 언제나 $+$ 기호를 가짐
  • $F-분포$는 $S^2_1$의 자유도 $(n_1-1)$과 $S^2_2$의 자유도 $(n_2-1)$에 따라서 그 모양이 달라짐
$$F(n_1-1, n_2-1) = \frac{\chi^2_1 / (n_1-1)}{\chi^2_2 / (n_2-1)} = \frac{S^2_1}{S^2_2} $$

<img src="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9/92/F_pdf.svg/650px-F_pdf.svg.png", width=300>

  • $F$ 값은 두 분산의 비율로써 계산 되기 때문에, $S^2_1$과 $S^2_2$이 비슷하면 $F=1$에 가까워진다.
  • 그러나 두 표본의 분산으로부터 계산된 $F$값이 $F-분포표$의 임계값보다 매우 크다면, 이 표본들은 분산 $\sigma^2$이 서로 다른 모집단에서 뽑혔다고 할 수 있다.

가설설정과 임계값의 결정

가설설정

  • 두 모집단의 분산을 비교하기 위한 가설검정에서도 양측검정이나 단측검정을 할 수 있다.
  • 그러나 작은 수치를 가진 표본분산을 분모로 하면 $F$값은 항상 $1$보다 크므로 $F$검정에서는 단측검정을 하는 것이 보통이다.

임계값의 결정

  • $F$의 임계값은 두 자유도 $df_1$과 $df_2$에 따라, 또 유의수준($\alpha$)에 따라 달라지므로 매우 많은 표를 필요로 함.
  • 보통 흔히 쓰이는 유의수준인 $\alpha=0.05$와 $\alpha=0.01$ 등의 표만을 제시한다.

<img src="https://www.safaribooksonline.com/library/view/random-data-analysis/9780470248775/images/tabA-5b.jpg", width=350>

$F-검정$의 예

예제. 영도중학교에서 1학년 학생들 성적의 차이가 2학년이 되면 더 커질 것이라는 판단하에 실제로 그러한가를 알아보려고 한다. 두 학년의 성적분포는 정규분포일 것이라고 가정을 하였다. 1학년에서 $7$명을 뽑고 2학년에서 $9$명을 뽑아서 각각의 성적의 분산을 조사하여 본 결과 1학년의 분산은 $9$이었으며, 2학년의 분산은 $19.8$이었다. 두 모집단의 분산은 같다고 볼 수 있을까? $\alpha = 0.05$로 검정하라.

$$ \begin{align} ①&\quad H_{0} : \sigma^2_1 = \sigma^2_2 \\ &\quad H_{a} : \sigma^2_1 > \sigma^2_2 \\ ②&\quad \alpha = 0.05 ( 5\% , 단측검정 ) \\ ③&\quad F_{8, 6}에서 \alpha=0.05 에 해당하는 임계값은 F=4.15 이므로 \\ &\quad 채택영역 : F \le 4.15\\ &\quad 기각영역 : F > 4.15 \\ ④&\quad F = \frac{19.8}{9} = 2.2 \\ &\quad F = 2.2 는 F \le 4.15 안에 포함되어 있으므로 \\ &\quad ( 채택영역 안에 있으므로 ) H_{0}를 기각할 수 없다. \\ ⑤& \quad 2학년 학생의 성적의 차이가 1학년 학생의 성적의 차이보다 크다고 할 수 없다. \end{alig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