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규화는 regularization, penalized라고 함. 분산을 감소시키고 weight를 줄이고자 하는 노력이다.
정규화(regularized) 선형 회귀 방법은 선형 회귀 계수(weight)에 대한 제약 조건을 추가함으로써 계수의 분산을 감소시키는 방법이다. Regularized Method, Penalized Method, Contrained Least Squares 이라고도 불리운다.
일반적으로 세가지 정규화 선형 회귀 모형이 사용된다.
Ridge 회귀 모형에서는 가중치들의 제곱합(squared sum of weights)을 최소화하는 것을 추가적인 제약 조건으로 한다.
$$ \begin{eqnarray} \text{cost} &=& \sum e_i^2 + \lambda \sum w_i^2 \end{eqnarray} $$$\lambda$는 기존의 잔차 제곱합과 추가적 제약 조건의 비중을 조절하기 위한 하이퍼 모수(hyper parameter)이다. $\lambda$가 크면 정규화 정도가 커지고 가중치의 값들이 작아진다. $\lambda$가 작아지면 정규화 정도가 작아지며 $\lambda$ 가 0이 되면 일반적인 선형 회귀 모형이 된다.
여기서 람다와 알파를 섞어서 사용하겠다.
우리의 목표는 원래 에러(residual, 잔차)를 줄이는 것이다. 목표를 추가한다? 에러의 목표를 어떻게 추가해? 람다로. 가중치를 줘서
가중치 자체를 줄여야 하는 것인데 알파가 커지면 본말이 전도가 된다. 알파가 엄청 커지면 weight는 모두 0이 된다. 람다를 얼마를 줘야 적정한가?
Elastic Net 회귀 모형은 가중치의 절대값의 합과 제곱합을 동시에 제약 조건으로 가지는 모형이다.
$$ \begin{eqnarray} \text{cost} &=& \sum e_i^2 + \lambda_1 \sum | w_i | + \lambda_2 \sum w_i^2 \end{eqnarray} $$$\lambda_1$, $\lambda_2$ 두 개의 하이퍼 모수를 가진다.
statsmodels 패키지는 OLS 선형 회귀 모형 클래스의 fit_regularized
메서드를 사용하여 Elastic Net 모형 계수를 구할 수 있다.(Elastic Net만 지원. Ridge, LASSO는 지원 X)
하이퍼 모수는 다음과 같이 모수 $\text{alpha} $ 와 $\text{L1_wt}$ 로 정의된다.
$$ 0.5 \times \text{RSS}/N + \text{alpha} \times \big( 0.5 \times (1-\text{L1_wt})\sum w_i^2 + \text{L1_wt} \sum |w_i| \big) $$
In [1]:
np.random.seed(0)
n_samples = 30
X = np.sort(np.random.rand(n_samples))
y = np.cos(1.5 * np.pi * X) + np.random.randn(n_samples) * 0.1
In [2]:
dfX = pd.DataFrame(X, columns=["x"])
dfX = sm.add_constant(dfX)
dfy = pd.DataFrame(y, columns=["y"])
df = pd.concat([dfX, dfy], axis=1)
In [3]:
model = sm.OLS.from_formula("y ~ x + I(x**2) + I(x**3) + I(x**4) + I(x**5)", data=df)
result1 = model.fit()
result1.params
Out[3]:
In [4]:
def plot_statsmodels(result):
plt.scatter(X, y)
xx = np.linspace(0, 1, 1000)
dfxx = pd.DataFrame(xx, columns=["x"])
dfxx = sm.add_constant(dfxx)
plt.plot(xx, result.predict(dfxx))
plt.show()
plot_statsmodels(result1)
In [5]:
result2 = model.fit_regularized(alpha=0.01, L1_wt=0)
print(result2.params)
plot_statsmodels(result2)
In [6]:
result3 = model.fit_regularized(alpha=0.01, L1_wt=0.5)
print(result3.params)
plot_statsmodels(result3)
In [7]:
result4 = model.fit_regularized(alpha=0.01, L1_wt=1)
print(result4.params)
plot_statsmodels(result4)
Scikit-Learn 패키지에서는 정규화 회귀 모형을 위한 Ridge
, Lasso
, ElasticNet
이라는 별도의 클래스를 제공한다. 각 모형에 대한 최적화 목적 함수는 다음과 같다.
In [8]:
def plot_sklearn(model):
plt.scatter(X, y)
xx = np.linspace(0, 1, 1000)
plt.plot(xx, model.predict(xx[:, np.newaxis]))
plt.show()
In [9]:
from sklearn.preprocessing import PolynomialFeatures
from sklearn.pipeline import make_pipeline
from sklearn.linear_model import LinearRegression, Ridge, Lasso, ElasticNet
In [10]:
poly = PolynomialFeatures(3)
pipeline() 안에는 리스트 넣고 그 안에 튜플을 만들어야 한다. 이런 방식은 named 방식이라고 한다. 왜 이런 방식을 만드냐면 튜플 안에 들어간 것은 객체다.
In [11]:
model = make_pipeline(poly, Ridge(alpha=0.01)).fit(X[:, np.newaxis], y)
plot_sklearn(model)
In [12]:
model = make_pipeline(poly, Lasso(alpha=0.01)).fit(X[:, np.newaxis], y)
plot_sklearn(model)
In [13]:
model = make_pipeline(poly, ElasticNet(alpha=0.01, l1_ratio=0.5)).fit(X[:, np.newaxis], y)
plot_sklearn(model)
정규화 모형은 오차-분산 트레이드오프(bias-variance trade-off) 원리에 따라 분산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In [14]:
X_train = np.c_[.5, 1].T
y_train = [.5, 1]
X_test = np.c_[-1, 3].T
np.random.seed(0)
models = {"LinearRegression": LinearRegression(),
"Ridge": Ridge(alpha=0.1)}
for i, (name, model) in enumerate(models.items()):
ax = plt.subplot(1, 2, i+1)
for _ in range(10):
this_X = .1 * np.random.normal(size=(2, 1)) + X_train
model.fit(this_X, y_train)
ax.plot(X_test, model.predict(X_test), color='.5')
ax.scatter(this_X, y_train, s=100, c='.5', marker='o', zorder=10)
model.fit(X_train, y_train)
ax.plot(X_test, model.predict(X_test), linewidth=3, color='blue', alpha=0.5)
ax.scatter(X_train, y_train, s=100, c='r', marker='D', zorder=10)
plt.title(name)
ax.set_xlim(-0.5, 2)
ax.set_ylim(0, 1.6)
Ridge 모형은 가중치 계수를 한꺼번에 축소시키는데 반해 Lasso 모형은 일부 가중치 계수가 먼저 0으로 수렴하는 특성이 있다.
Lasso가 왜 0이 떨어지느냐? 원은 보통 꼭지점에 맞는 경우가 대다수다.
In [15]:
from sklearn.datasets import load_diabetes
diabetes = load_diabetes()
X = diabetes.data
y = diabetes.target
In [16]:
ridge0 = Ridge(alpha=0).fit(X, y)
p0 = pd.Series(np.hstack([ridge0.intercept_, ridge0.coef_]))
ridge1 = Ridge(alpha=1).fit(X, y)
p1 = pd.Series(np.hstack([ridge1.intercept_, ridge1.coef_]))
ridge2 = Ridge(alpha=2).fit(X, y)
p2 = pd.Series(np.hstack([ridge2.intercept_, ridge2.coef_]))
pd.DataFrame([p0, p1, p2]).T
Out[16]:
In [20]:
ridge0 = Ridge(alpha=0).fit(X, y)
p0 = pd.Series(np.hstack([ridge0.intercept_, ridge0.coef_]))
ridge1 = Ridge(alpha=1).fit(X, y)
p1 = pd.Series(np.hstack([ridge1.intercept_, ridge1.coef_]))
ridge2 = Ridge(alpha=2).fit(X, y)
p2 = pd.Series(np.hstack([ridge2.intercept_, ridge2.coef_]))
ridge3 = Ridge(alpha=100).fit(X, y)
p3 = pd.Series(np.hstack([ridge3.intercept_, ridge3.coef_]))
ridge4 = Ridge(alpha=500).fit(X, y)
p4 = pd.Series(np.hstack([ridge4.intercept_, ridge4.coef_]))
ridge5 = Ridge(alpha=1000).fit(X, y)
p5 = pd.Series(np.hstack([ridge5.intercept_, ridge5.coef_]))
df = pd.DataFrame([p0, p1, p2, p3, p4, p5]).T
df.columns=["alpha0", "alpha1", "alpha2", "alpha100", "alpha500", "alpha1000"]
df
Out[20]:
In [17]:
lasso0 = Lasso(alpha=0.0001).fit(X, y)
p0 = pd.Series(np.hstack([lasso0.intercept_, lasso0.coef_]))
lasso1 = Lasso(alpha=0.1).fit(X, y)
p1 = pd.Series(np.hstack([lasso1.intercept_, lasso1.coef_]))
lasso2 = Lasso(alpha=10).fit(X, y)
p2 = pd.Series(np.hstack([lasso2.intercept_, lasso2.coef_]))
pd.DataFrame([p0, p1, p2]).T
Out[17]:
Lasso
와 ElasticNet
클래스는 하이퍼 모수 alpha
값의 변화에 따른 계수의 변화를 자동으로 계산하는 path
메서드를 제공한다.
lasso_path()
, enet_path()
명령어도 path
메서드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In [18]:
lasso = Lasso()
alphas, coefs, _ = lasso.path(X, y, alphas=np.logspace(-6, 1, 8))
df = pd.DataFrame(coefs, columns=alphas)
df
Out[18]:
In [21]:
lasso = Lasso()
alphas, coefs, _ = lasso.path(X, y, alphas=np.logspace(0, 1, 10))
df = pd.DataFrame(coefs, columns=alphas)
df
#0이 나온 경우에는 영향력이 없는 것들이 먼저 떨어져 나간다.
Out[21]:
In [19]:
df.T.plot(logx=True)
plt.show()
In [23]:
from sklearn.linear_model import LassoCV
alphas = np.logspace(-4, -.5, 50)
lasso_cv = LassoCV(alphas=alphas, cv=5)
lasso_cv.fit(X, y)
print(lasso_cv.alpha_ )
scores = -lasso_cv.mse_path_.mean(axis=1)
plt.semilogx(lasso_cv.alphas_, scores)
plt.axhline(np.max(scores), linestyle=':')
plt.axvline(lasso_cv.alpha_ , linestyle=':')
plt.ylabel('CV score')
plt.xlabel('alpha')
plt.show()